Skip to content

Web3 시장 진출을 위한 블록체인 이코노미 컨설팅

루니버스 체인 솔루션 & 블록체인 기업맞춤형 컨설팅 

 
 블록체인 전문기업 람다256은 클라우드 기반의 친환경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루니버스’를 제공합니다. 블록체인 기술 저변 확대 및 생태계 조성에 앞장 선 엔터프라이즈 테크의 대표적인 모델로서 지속적인 개발 업데이트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컨설팅은 사업 프로세스와 전략적 이니셔티브 수립을 지원하며, 사업 의사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검증 이슈들을 해결하고 가이드합니다. 차세대 Web 3 서비스를 계획하는 기업들 대상으로 성공적인 블록체인 서비스 런칭을 할 수 있도록 개발 플랫폼과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해 드립니다.

블록체인 컨설팅 소개 

 

람다256이 제공하는 컨설팅은 블록체인 기반 사업 모델 가이드, 사업 프로세스 수립 그리고 기술 활용 가이드로 구성됩니다.

 복합적인 시장에 대한 이해 부족, 시간적 비용 증가, 기술 검증 불가, 신뢰 가능한 파트너의 부재 등을 해결하기 위한 토탈 패키지형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루니버스 만의 다양한 성공 사례를 기반으로 기업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블록체인 솔루션을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위험관리 자문을 제공해 드리며, 사업 구조화/프로세스를 수립/ 기술 활용 가이드를 통하여  빠른 사업 실현화와 비용 절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1)For Developer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구현 및 운영에 대한부담없이 서비스개발에집중할 수 있는 환경 제공 및 기술 자문 

2)For Enterprise

사업적 의사결정과 관련 부담이 없도록 손 쉬운 블록체인 도입 및 Web3 비즈니스 기회 제공

3)For End-user

Blockchain-Savvy <-> 기업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활발한 네트워크 참여 유도

 


 

Join Us

아래 버튼을 클릭 하시면 컨설팅 패키지 전체 파일을 보내드립니다. 더 다양한 솔루션을 원하시면 신청해주세요.

Share your blockchain-related digital insights with your friends

Facebook
Twitter
LinkedIn

Get more insights

웹3와 소셜미디어: 블록체인 기술이 가져올 혁신과 비즈니스 기회

The social media market is actively moving towards Web3. Traditional Web2 giants like Google and Microsoft are investing heavily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lockchain technology, creating ground-breaking services like ChatGPT. Facebook has shown its willingness to transform into Web3 by changing its brand name to “Meta”, while Starbucks has announced its upcoming launch of Web3 app “Odyssey”.

EVM이란 무엇일까? 루니버스, 이더리움, 폴리곤.. 체인별 비교분석!

EVM은 Ethereum 블록체인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환경으로서,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을 주로 담당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작성, 배포 및 실행할 수 있습니다. EVM chain들의 기술적 특징들과 루니버스가 제공하는 EVM 관련 API에 대해 읽어보세요.

Tech Talk: What is a Node Provider?

노드 프로바이더는 노드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 리소스 및 지원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이들은 노드 구축, 유지 및 보안을 담당하여 사용자가 노드 운영에 대한 기술적 지식 없이도 네트워크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루니버스를 활용하여 DApp을 구축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Tech Talk: Ethereum Naming Service (ENS)

1. ENS가 무엇일까? ENS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DNS의 개념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을 웹 서버의 IP 주소로 바꿔주는 시스템을 DNS(Domain Name System)라고 합니다. 웹의 초기에는